머리가 지끈거리는 일반적인 두통과 달리 특정 부위인 관자놀이 두통이 발생할 경우 이유를 특정하기 용이하다.
관자놀이는 눈과 귀 중간에 있는 관자뼈가 있는 곳으로 태양혈이라고도 한다.
이곳에 두통이 있는 경우는 크게 2가지를 예상할 수 있다.
콘텐츠
관자놀이 두통 종류
측두동맥염
측두 동맥염이란 관자놀이 근처를 지나가는 측두동맥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이다.
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동맥염으로 주로 얇은 측두동맥에서 발생하고 염증이나 혈전이 발생하여 만졌을때 동맥이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다.
TMI. 혈전이란 혈관 내에 생기는 핏덩어리로, 피가 굳어서 생기는 덩어리를 말한다
군발두통
군발두통이란 삼차자율신경두통의 한 종류이며 얼굴과 머리의 통증과 함께 눈물, 콧물, 결막충혈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두통이 심하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데 발생확률은 약 0.4%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두통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는데, 군발두통은 남성 환자가 약 90%정도이며 특히20~40대 남성에게서 주로 발생한다.
관자놀이 두통 증상
측두동맥염 증상
측두 동맥염은 관자놀이 두통과 함께 발열, 식욕부진, 졸음과 어깨와 대퇴부 근육통이 동반된다.
TMI. 대퇴부란 넓적다리라고도 불리며 골반과 무릎 사이를 말한다.
추가적으로 평소 아무 증상이 없다가 음식을 먹을 때 씹을수록 턱관절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측두동맥염의 특징중 하나이다.
군발두통 증상
눈물, 결막충혈, 코막힘, 콧물 등의 자율신경증상을 동반하며 심한 두통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군발두통의 특징이다.
군발두통이 발생하기 전 무기력증, 흥분, 예민함 등의 전조증상이 있을 수 있다.
두통은 관자놀이와 눈 뒤쪽 부근에서 시작하여 얼굴의 곳곳으로 두통이 퍼져나간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두통으로 두통의 시작점이 항상 같은 곳이지만 간혹 좌우가 바뀌는 경우가 있다.
두통의 지속시간은 짧은편이지만 그사이 매우 심한 강도의 두통으로 약 90%의 환자에게서 눈물이 날 정도이다.
두통의 빈도는 보통 하루 1~2회 정도이며 시기적으로는 새벽 1~2시와 오후 1~2시 그리고 오후 9시쯤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잠이든 한시간 가량 후에도 발생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관자놀이 두통 원인
측두동맥염 원인
측두동맥염의 원인으로는 면역계 이상으로 인해 측두동맥에 발생하는 염증 반응으로 보고있다.
하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이 파악되지 않았으나, 피로가 쌓일 경우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군발두통 원인
군발두통은 삼차자율신경 두통의 하나로, 눈으로 가는 삼차신경의 통각수용기에 의한 뇌부교감신경반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것이 원인 되며 삼차신경에 관련된 신경혈관계가 활성화 되면서 신경성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한 통증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TMI. 교감신경은 위급한 상황에 빠졌을 경우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부교감신경은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여 에너지를 저장해두는 역할을 한다.
TMI. 삼차신경은 얼굴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으로 제1가지(V1, 눈신경), 제2가지(V2, 위턱신경), 제3가지(V3, 아래턱신경)의 세 갈래로 나누어진다.
관자놀이 두통 진단
측두동맥염 진단
초음파를 통한 혈류의 흐름에 대한 검사와 혈액 내 염증수치 그리고 측두동맥의 조직을 때어내 염증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다.
군발두통 진단
국제 두통협회의 군발두통 진단기준을 참고하고 있다.
[진단기준]
A. 진단기준 B-D를 충족하며 최소한 5번 발생하는 발작
B. 편측 안와, 안와위 그리고/또는 측두부의 심도 또는 매우 심한 통증이(치료하지 않을 경우) 15-180분간 지속됨1
C. 다음 중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모두:
1. 두통과 동측으로, 다음의 증상 또는 증후 중 최소한 한 가지:
a) 결막충혈 그리고/또는 눈물
b) 코막힘 그리고/또는 콧물
c) 눈꺼풀부종
d) 이마와 얼굴의 땀
e) 동공수축 그리고/또는 눈꺼풀처짐
2. 안절부절 못 하고 초조한 느낌
D. 이틀에 1번에서 하루 8번 사이의 발작빈도2
E. 다른 ICHD-3 진단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음.
<진단기준 근거 국제두통질환분류 제3판 … 31p 군발두통>
관자놀이 두통 치료
측두동맥염 치료
환자의 증상과 나이 체중을 고려하여 스테로이드를 처방하게 된다.
TMI. 호르몬의 일종으로 염증반응에 영향을 주며 만성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 약제이다.
군발두통 치료
통증의 지속시간이 짧아 입으로 섭취하는 알약은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100% 산소 흡입이 효과가 있음은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치료는 개인차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병원에서 의사의 진단에 따라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