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B12의 설명 및 효능
코발라민이라고도 불리는 비타민 B12는 빈혈치료를 연구하던 도중에 발견되었다.
비타민 B12의 일부분은 코발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코발트와 함께 간에 저장되어 있다가 다양한 효소의 활성을 돕는다.
주로 동물성식품에 풍부하여 동물성 식품을 통해 섭취하게 된다.
비타민 B12는 몸 속에서 *아데노실코발라민과 메틸코발라민으로 변환한 뒤 조효소로써 기능한다.
*글 끝에TMI 지식 설명
조효소는 엽산과 함께 아미노산대사에 도움을 주며 단백질의 합성과 에너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엽산과 핵산의 합성에 관여하며 이를 통해 생성된 핵산은 세포분열에 꼭 필요한 성분으로 적혈구를 합성하여 척수나 위장 점막 등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비타민B12 부족 증상
비타민 B12가 부족하게 되면 골수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참고로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비타민 B12가 부족하게 되는 것은 곧 적혈구의 생산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악성빈혈(거대적혈모구빈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비타민 B12는 뇌와 척수로 이루어진 중추신경을 제대로 작동하도록 돕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비타민 B12이 부족할 경우 중추신경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비타민 B12 섭취하는 방법
비타민 B12의 하루 권장 섭취량은 약 2.5mg 정도로 결핍이 되기 쉽지 않다. 하지만 너무 식물성 식단으로 치우칠 경우 결핍이 발생 할 수 있다.
식물성 식품 중에는 파래김과 같은 김에 미량 함유되어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또한 고령자나 위를 절개한 경우 비타민 B12의 흡수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악성 빈혈 예방을 위해서는 비타민 B12와 엽산을 함께 함유한 식품을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TMI 지식
- 아데노실코발라민과 메틸코발라민 : 비타민 B12의 조효소이다. 비타민 B12가 섭취되면 위에서 당단백질과 결합 후 소장에서 흡수된 뒤 간으로 운반, 조효소로 변환된다.
- 악성빈혈: 거대적혈모구빈혈이라고도 불리며 옛날에는 원인 및 치료방법을 찾지 못해 사망까지 가는 경우가 있었으나, 지금은 비타민 B12와 엽산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