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과 손가락 통증,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움직이는 신체부위여서 통증이 있을 경우 계속 신경이쓰일 수 밖에 없는 곳이다.
그런데 어떤 부위의 통증 인지에 따라 원인이 다를 수 있다.
지금 아픈 부위가 어딘지, 해당 부위는 어떤 이유로 통증이 발생하는지 아래 사진에서 해당 부위 통증의 원인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 각 원인별로 자세히 알아보자!
콘텐츠
골관절염
관절에서 만나는 두 뼈 사이에 서로의 접촉면을 감싸고 있는 연골 즉 관절연골이 마모되어 뼈가 직접 드러나 관절의 주변 활액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흔히 퇴행성 관절염 이라고 부르며 노화에 의한 질환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꼭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것 만은 아니다.
발생원인으로는 강한 충격이나 외상 또는 유전적 요인, 비만,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및 오랜 기간 사용에 의한 것 등으로 여러 가지 발생 원인이 있다.
손가락 마디에서 발생하는 골관절염은 주로 중년의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통증을 동반하며 마디가 점점 굵어지게 된다.
류마티스 관절염과 구별할 필요가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발생한다고 추정되고 있다.
주로 발생하는 연령은 30대 전후이고 남성보다는 주로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
하지만 남성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전 연령에 걸쳐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약 1%가량이 류마티스 관절염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되며 매년 그 숫자는 증가하고 있다.
발병 초기에는 손 마디가의 뻐근함을 느끼게 되는데 이 증상이 특히나 자고 일어난 아침에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뻐근함은 꽤 긴 시간 동안 손을 움직여야 증상이 서서히 사라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뻐근한 증상이 하루 종일 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전신의 피곤함과 무력감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심각해짐에 따른 추가 증상으로는 손가락 마디가 붓고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이 심하여 통증이 있는 마디에서는 따뜻함이 느껴질 정도의 열감이 있다.
이러한 증상을 방치할 경우 연골과 주위의 조직이 손상되면서 관절의 변형이 발생하고 그 상태로 굳어져 손가락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비슷한 증상이 보이면 바로 병원에 들려 예방 또는 초기에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성통풍
가성 통풍이란 통풍의 증상과 비슷하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원래 이름은 ‘칼슘인산염결정 축적 질환’으로 어려운 이름이다.
주로 40~50대 남성 환자가 많은 통풍과 달리 60세 이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발생 부위도 무릎이나 손목과 손가락에 주로 발생한다.
통풍과 유사해 관절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근본적인 원인의 차이가 있다.
요산이 쌓여 발생하는 통풍과 달리 가성 통풍은 칼슘 결정들이 쌓여 발생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수분 부족에 의한 탈수와 부갑상선 기능 이상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칼슘의 대사활동에 영향을 주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가성통풍 또한 만성으로 진행 될 경우 관절의 손상 및 구조의 변형으로 진행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드퀘르벵 힘줄윤활막염
병명이 생소할 수 있는데 이는 드퀘르벵이라는 스위스 의사가 본인의 이름을 붙여서 지은 이름이다.
우리나라 말로하면 엄지손가락 손목 건초염 또는 손목인대 염증 정도로 부를 수 있다.
주요 발생 원인으로는 엄지손가락과 손목을 많이 사용해 발생한다.
주로 육아를 시작한 여성에게서 발생하는데 이는 임신 중 여성호르몬의 변화로 관절과 인대가 느슨한 상태가 되는데 이 때 가사와 육아를 진행할 경우 손목 힘줄에 염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엄지손가락이 있는 손바닥과 손목 부근에서 강한 통증이 느껴진다.
병원에 방문하여 약을 처방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손목건초염이 발생한 경우 해당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손목터널증후군
손목에는 손가락을 움직이기 위한 힘줄과 신경이 지나가는데, 이를 보호하는 관이 있다.
그런데 손가락을 움직이기 위한 신경을 보호해야 하는 관이 누르게 되어 저림과 감각 저하 통증 등을 느끼는 질환으로 손목 터널증후군으로 많이들 알고 있는 이 질환의 원래 명칭은 손목 수근관 증후군이다.
근본적 원인으로는 신경과 힘줄을 보호하는 수근관이 좁아지는 것이다.
하지만 수근관이 좁아지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주로 발생하는 경우를 보면 주부, 미용사, 피부관리사 등 손을 많이 쓰는 직업과 나이가 많은 여성, 비만, 당뇨병 환자 등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다.
주요 증상으로는 엄지, 검지, 중지, 약지까지 저린 증상이 있으나 새끼손가락에는 저린 증상이 없다.
손가락이 화끈거리거나 손가락이 굳는 느낌이 든다.
심해질 경우 일상생활에서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므로 해당 증상이 발생하면 빠른 시일 내에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