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아연 설명과 효능
몸 속에 약 2g정도 존재하는 아연, 혈액에 약 50%, 뇌와 전립선과 같은 조직에 약 30% 피부에 약 20% 정도 존재하고 있다.
아연의 기능 중 가장 큰 부분은 약 200종류 이상의 효소의 기능에 영향을 주어 단백질과 탄수화물 알코올의 대사와 면역시스템, 호르몬의 분비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작용하도록 돕는다.
세포 분열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데, DNA와 RNA의 합성에 필요하여 아연이 부족할 경우 DNA유전자의 정보 복사를 통한 세포분열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포분열이 많이 필요한 태아시기엔 아연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써 임신과 모유수유를 하고 있다면 아연을 충분하게 섭취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또한 비타민C와 함게 콜라겐 생성에도 영향을 주어 피부와 뼈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콜라겐을 통한 미용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소인 슈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의 성분으로 구리나 망간과 같은 무기질과 함께 항산화를 돕기도 한다.
아연 부족/과잉 증상
콜라겐 생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아연 결핍이 발생하면 피부가 거칠어지고 기미와 주름살이 생기며, 뼈의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아연의 기능 중 또 다른 하나로인 미각세포가 약 30일 주기로 재생되는데 아연이 부족하게 되면 미각세포의 재생을 돕는 일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미각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아연이 결핍이 심해지면 면역 기능저하와 남성의 경우 *생식기능의 이상도 생길 수 있다.
반대로 아연을 과잉 섭취한 경우 철분과 구리의 흡수를 방해하여 철분, 구리 결핍증을 유발할 수 있다.
아연 섭취하는 방법
하루 권장 섭취량은 약 10mg이다.
주로 고기나 어패류에 풍부한데, 비타민C와 구연산을 합께 섭취하면 흡수율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생선이나 조개 그리고 고기등을 먹을 때 식초나 레몬이나 식초 등을 뿌려서 먹으면 아연 흡수에 도움이 된다.
반대로 인스턴트 식품에 첨가되어 있는 폴리인산은 아연의 흡수를 방해하므로 아연 섭취가 필요할 때에는 폴리인산이 첨가되어 있는 음식 섭취를 삼가도록 하여야 한다.
TMI지식
생식기능 이상: 아연은 전립선에 많이 존재하는데, 이는 정자의 생성과 운동률 그리고 수정란의 분열에 많은 관여를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아연의 결핍은 생식기능의 저하로 연결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