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오메가3 영양제를 챙겨먹고 있다. 그런데 어떠한 건강의 이로움을 위해 오메가3를 챙겨먹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거나 오해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오메가3에 대한 설명, 효능 그리고 오해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 한다.
이 글을 끝까지 잘 읽고 여러분의 건강을 위해 어떻게 해야할지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해 볼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콘텐츠
오메가3 설명
오메가3는 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으로 인체에 필요한 지방산이지만 체내에서 합성이 되지 않아 음식이나 보충제를 통해 섭취해야 한다.
오메가3 효능
혈중 중성지방 감소
혈액속에는 몇가지 종류의 지방이 함께 존재하는데, 그중 중성지방의 증가 시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이 증가하고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을 감소 시키게 된다.
심혈관질환 예방
혈중 중성지방 감소로 인해 혈관에 지방이 쌓여 발생할 수 있는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질병 등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뇌기능 개선
DHA(긴사슬꼬리 오메가3 지방산)는 우리 뇌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중 하나이다.
동물성 오메가3의 성분 중 긴사슬 꼬리 오메가3 지방산 성분을 가지고 있어 어린이의 뇌성장 및 노년층의 인지장애 및 뇌기능 저하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오메가3 효능에 대한 오해
위에서 오메가3의 효능에 대한 설명을 했다.
그런데 오메가3에 대해 조사하며 알게된 연구결과들과 개인적인 생각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한다.
오메가3의 혈관 질환 개선
심장질환, 뇌졸중, 혈관 질환 등에서 오메가3의 복용을 통한 개선과의 연관성이 없다는 <2018-미국 의사협회 저널 심장학>발표가 있었다.🔗
또한 혈관에 지방이 쌓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다른 지방을 통해 개선하겠다는 생각보다는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지가 아닐까 생각한다.
TMI. 빈대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 .
오메가3의 뇌기능 개선
동물성 오메가3 성분중 하나인 DHA가 뇌를 구성하는 성분중 하나인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DHA를 섭취만 한다고 뇌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너무 일차원적인 생각이 아닐까 싶다.
운동을 하지 않고 단백질만 섭취한다고 근육질이 될 수는 없다.
오히려 과도하게 섭취된 단백질은 세포내에서 지방으로 축적될 수 있다.
정말 근육질을 만들고 싶다면 단백질 보충과 함께 근육이 성장 할수 있도록 근육운동을 해야한다.
얼마전 아이에게 읽어주었던 어린이 동화 중 하나인 <농부와 속이 빈 호두> 이야기가 생각나서 짧게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옛날 호두 농부가 신을 찾아가 날씨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받아 호두나무가 잘 자랄 수 있는 날씨만으로 조절해주었다.
강한 비바람도 천둥 번개도 가뭄도 없이 말이다.
그해 정말 호두나무에 호두가 주렁주렁 엄청 많이 열렸다.
그런데 호두 속은 텅 비어있었다.
신은 농부에게 알려주었다.
고난과 역경 없이는 알맹이도 없다는 것을….
어린이를 위한 동화라고는 하지만 저에게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동화이어서 소개해드렸습니다.
오메가3와 당뇨병
하버드 연구팀은 2009년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많아질수록 당뇨병 발생 위험이 더 높다는 발표를 하였다.
수치로 보면 오메가3 지방산을 많이 복용한 경우 약 24%가량 발생 위험이 높아졌다.
추가로 생선을 주 3회일 때 약 17% 5회일때 22%가량 발생률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게다가 2020년에는 식단 조절 중 탄수화물을 줄이고 생선을 통한 단백질 섭취가 늘어나게 될 경우에도 당뇨병 발생률이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 되었다.
※오메가3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으로 작성된 글임을 말씀드립니다.
☞ 당뇨병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