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붕증 증상 그리고 치료법

소변의 양이 증가되면 일상생활의 불편함과 수면의 질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런 증상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요붕증을 의심할 수 있다.

요붕증 설명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 이뇨작용을 조절하는 항이뇨호르몬이 부족 또는 신장에서 항이뇨호르몬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하는 질병인 요붕증, 호르몬에 의한 질병이므로 진료를 보기 위해서는 내분비 내과를 방문하면 된다.

항이뇨호르몬은 신장에서 원뇨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수분을 일부 다시 흡수하는 일을 한다.

TMI. 원뇨는 콩팥의 사구체로부터 여과된 상태의 소변으로 세뇨관을 통과하면서 재흡수와 분비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소변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작용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인해 원뇨로부터 수분을 재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정상 때에 비해 소변량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필요한 양을 흡수하지 못하고 소변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다시 수분을 보충하라고 몸에서 갈증 신호를 보낸다.

요붕증

요붕증 원인

요붕증의 원인은 두가지 가 있는데 하나는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호르몬의 부족 현상인데 이를 중추성 요붕증이라고 하며 이 경우가 대부분이다.

TMI. 뇌하수체는 약 1.5cm 내외로 대략 콩알만한 크기의 내분비샘으로 뇌의 안쪽에 위치한다. 뇌하수체는 대부분의 다른 내분비샘들을 조절하므로 주분비샘이라 부르기도 한다.

부족한 원인으로는 뇌하수체의 종양이나 수술 그리고 감염 등 뇌하수체에 문제가 생긴 것인 경우가 대부분 이나 간혹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원인은 항이뇨호르몬은 제대로 분비되나 신장에서 원활하게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인데 이는 신장성 요붕증이라고 부른다.

요붕증 증상

요붕증을 앓고 있는 경우 다뇨 증상으로 인한 탈수와 심한 갈증, 이로 인해 구강점막과 피부 등이 건조해질 수 있다. 또한 탈수가 심해지면 의식을 잃을 수 있다.

TMI. 하루 소변량이 몸무게 1kg당 50cc 이상의 많은 양의 소변을 배출한다.

   ☞ 몸에서 물의 효능과 수분 부족 증상

특히 영유아의 경우 탈수가 심해지면 열이 나거나 경기를 할 수 있으며 구토 증상 그리고 심한 경우 뇌에 손상이 생길 수 있으니 특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요붕증 진단

요붕증 진단은 수분제한검사를 진행하는데, 이는 일부러 탈수 상태를 만들고 이때 소변과 혈액을 받아 전해질과 삼투압 농도를 측정한다.

TMI. 탈수상태에서 소변과 혈액을 받아야 하므로 병원에 입원하여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과 혈액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붕증으로 판단되면 MRI검사를 통해 정밀진단을 진행할 수 있다.

 TMI.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란 인체를 자기장을 발생하는 커다란 통모양의 자석 속으로 들여보낸 후 고주파를 통해 신체부위에 있는 수소원자핵을 공명시켜각 부위별로 나오는 신호의 차이를 감지하여 컴퓨터를 통해 단면과 3D형상의 이미지를 만들어 질병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받는 검사장비이다.

치료법

항이뇨호르몬의 생성이 문제인 중추성 요붕증의 경우 항이뇨호르몬 생성에 문제가 생긴 경우이므로 항이뇨호르몬을 복용 또는 코로 흡입, 주사로 투여한다

그리고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가 문제인 신장성 요붕증의 경우 아직 정확한 치료제가 아닌 도움이 되는 약과 식이요법으로 치료를 진행한다.

일상 가이드

탈수 상태가 되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섭취와 의사의 처방과 가이드를 잘 지키도록 해야 한다.

하루 충분한 수분섭취를 위해 필요한 것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