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탄수화물 설명
탄수화물의 분자는 구조가 단순한 편이여서 몸에서 쉽게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분해하여 흡수,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다.
구조에 따라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가 있다.
이 중에서도 우리 몸으로 흡수가 쉽도록 이당류와 다당류는 단당류로 분해된 뒤 소장에서 흡수되게 된다.
탄수화물(당질)의 종류
단당류
- 글루코스(포도당) : 곡물과 과일, 꿀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다.
- 프럭토스(과당): 과일과 꿀 그리고 음료수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간에서 글루코스로 변환하여 사용된다.
- 갈락토스: 유제품과 사탕무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간에서 글루코스로 변환하여 사용된다.
이당류
- 수크로스(자당): 설탕의 주성분으로 사탕수수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글루코스와 프럭토스의 결합구조 이다.
- 락토스(젖당): 우유, 모유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글루코스와 갈락토스의 결합구조 이다.
- 말토스(엿당): 엿기름, 식혜, 물엿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글루코스가 2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당류
- 전분: 곡식 및 감자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입에서 타액에 의해 말토스로 분해되고 소장에서 글루코스로 변환되어 사용된다.
- 글리코겐: 간, 조개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근육이나 내장에 저장되어있다가 필요 시 글루코스로 분해하여 사용된다.
- 덱스트린: 음료수와 사탕 등에 많이 사용되며 전분의 일부가 분해되어 있는 구조이다.
정제 탄수화물
일반적으로 탄수화물은 음식을 통해 섭취하게 되는데, 이때 가공이 추가되어 몸에서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가공된 탄수화물을 정제 탄수화물이라고 한다.
흡수하기 쉽다는 것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탄수화물만을 뽑아 흡수시키게 되므로 혈당수치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쉽게 많은 양의 흡수가 지속되게 되면 비만과 당뇨의 위험이 높아진다.
비정제 탄수화물
반대로 비정제 탄수화물이란 탄수화물만을 뽑아낸 것이 아니라 다른 성분들과 함께 흡수되며 흡수되는 시간도 길다.
이로 인해 급격히 혈당수치가 급격히 상승하지 않고 완만한 상승을 통해 인슐린 분비 및 감응성에 영향을 덜 미치게 된다.
TMI지식
탄수화물 섭취: 건강을 위해서는 비정제 탄수화물 즉 과일과 야채, 곡물로부터 흡수되는 양을 50~55%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권장되어 진다. 또한 식품에 첨가되는 가당을 통한 섭취는 10%이하인 것이 좋은데, 가당에 대한 정보는 음식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