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예방접종 종류와 접종 이유 알아보기

입양 시기에 따라 반려견 예방접종 실시 여부가 달라질 수 있어 어떤 접종을 해야 할지 고민하시고 계실 것 같아요.

입양을 보낸 전 주인에게 지금까지의 접종 여부를 확인하고 이후 접종할 종류를 정확하게 알아두셔야 하는데요.

예방접종별 시기와 횟수를 정확히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그럼 강아지 예방접종 종류와 접종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는 어미젖을 때면 모체로부터 주어지던 면역 기능이 중단되어 병에 걸리기 쉽게 된다. 

위키피디아 – 강아지 예방접종의 이유

반려견 예방접종 – 종합백신(12주 이전 필수)

 12주 이전의 반려견의 필수 예방접종으로 DHPPi (홍역, 파보장염, 전염성 간염, 파라인플루엔자) 4종 백신이 일반적이에요.

그중 파보장염은 전염력이 강하고 치사율도 높아요.

파보장염은 잠복기가 2~3일 정도이고 이후 무기력증과 식욕부진의 증상 이후 구토와 설사를 해요. 감영 후 약 5일째가 지나 증상이 악화되면 구토와 점액과 피가 섞인 설사 등과 함께 전해질 불균형, 백혈구의 감소로 인한 패혈증에 의한 사망으로 이어져요.

 파보장염은 초기에 발견하여 패혈증으로 발전하기 전 치료를 시작할 경우 약 90%의 생존율을 보이는 만큼 초기에 진료를 볼 수 있도록 증상을 숙지하셔야 해요.

 추가로 12가 지난 사냥견의 경우 DHPPL (홍역, 파보장염, 전염성 간염, 파라인플루엔자 및 렙토스피라) 5종 백신을 맞아요.

 여기서 렙토스피라는 주로 들쥐나 야생동물의 배설물을 통해 감염이 돼요. 그리고 백신의 유효한 기간도 짧게는 3개월에서 길어도 12개월 이어서 사냥견의 경우 사냥을 나가기 전 꼭 백신 접종이 필요해요.

반려견 예방접종 – 코로나 장염(필수)

 이름에서부터 긴장하게 되는 코로나 장염은 생각하시는 코로나 19와는 다른 바이러스예요.

처음 닭에게서 발견된 이 바이러스는 주로 다른 동물의 배설물/분비물을 통해 감염돼요.

증상으로는 구토, 발열, 혈변, 식욕저하 등이 있어요.

이 코로나 장염 바이러스는 비누에도 죽을 만큼 약한 바이러스입니다. 하지만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다른 장염(파보장염)을 불러와 목숨을 잃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감염 경로가 타 동물의 배설물/분비물인 만큼 산책 시 아무거나 먹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해요.

반려견 예방접종 – 켄넬코프(필수)

켄넬코프는 반려견에게 발생하는 기관지염으로 전염성이 강하며 주요 증상은 마른기침이에요.

건강한 강아지의 경우 큰 위험이 되지 않지만,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는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어요.

특히 임신 중인 반려견이라면 보호자의 특별히 주의가 필요해요.

반려견 예방접종 -광견병(필수)

 광견병은 해당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개에게 물렸을 경우 전염되는데, 이는 모든 포유류에게 전염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사람도 예외가 되진 못한다.

보통 광견병에 감염되면 전구기 > 광조기 > 마비기 이런 단계로 진행되게 된다.

전구기

평소와 다른 이상한 행동과 성격이 변한다.

광조기

주변의 배회하며 눈에 보이는 것을 자주 무는 행동을 보이고 빛과 소리에 과한 반응을 한다.

마비기

온몸이 마비되는데 이때 혀를 지탱할 힘조차 없어 혀가 입 밖으로 나와 늘어져 있다가 이후 혼수상태에 빠지며 사망하게 된다.

이러한 광견병이 사람에게 전염되었을 때도 증상이 있다.

보통 1~3개월 간의 잠복기를 지나고 나서 발병하게 된다.

전구기에는 식욕이 없고 발열과 함께 물린 부위의 통증이 있다.

반려견의 광조 기를 사람은 급성 신경증 상기라고 하며 이때는 물을 무서워하고 마비, 흥분, 환각, 정신착란, 불안감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반려견의 마비 기를 사람은 혼수기라고 부르며 이때는 호흡기 장애로 인해 거의 100% 사망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사람에게까지 큰 영향을 끼치는 광견병 예방접종은 필수 중에 필수라 할 수 있다.

강아지의 건강을 위한 예방접종 잘부탁해요
강아지의 건강을 위한 예방접종 잘부탁해요 Pexels.com

반려동물의 건강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일은 가족을 돌보는 일이니 만큼 꼭 신경써야 하는 부분인데요.

반려견이 몸이 안좋거나 불편할때 보내는 신호(링크)에 대한 글을 읽어보시고 숙지하고 계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Leave a Comment